여러분은 어떤 방법으로 피임을 하고 계신가요?
콘돔? 경구 피임약? 질외사정?
이 중 질외사정의 피임율은 얼마나 될까요?
알고 있지만 자신있게 대답할 수 없었던 피임법
지금부터 자세하게 알아 봅시다.
1. 경구피임약
호르몬 조절을 통해 배란 한 것처럼 몸을 속이는 효과입니다.
부작용으로는 피가 끈적해지는 혈전색전증이 있습니다.
2. 호르몬 주사
애초에 배란 자체를 막는 호르몬 주사는 한 번 맞으면 3~4개월 정도
피임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기 때문에 우울증이 올 수 있습니다.
3. 임플라논
배란이 안 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호르몬의 변화로
우울증,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1. 페미돔
여성용 콘돔으로써 질 속으로 넣는 방식입니다.
하지만 어려운 착용 방법 및 콘돔의 10배 가량의 비용으로
활성화 되지 못했습니다.
3. 루프
자궁 내막의 염증이나 점액의 변화로 인해
몸 속에 들어온 정자가 나팔관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리입니다.
사랑하는 사람과의 건강한 성관계를 위하여
나에게 맞는 피임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본 후
건강하고 올바르게 피임을 합시다!